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비극(悲劇)의 탄생
이성(理性)의 탄생
결국, 니체는 무엇을 원했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화론
한국사 시민강좌
1999 .08
근대와 탈근대 또는 새로움에 관하여
문화과학
2000 .06
근대 Ⅰ (1876~1910)
역사학보
2003 .09
[특집:식민지 근대화와 탈근대]근대화에서 근대성으로
문화과학
2002 .09
한국 근대성의 문제와 탈근대화
문화과학
2000 .06
한국 여성의 근대성과 근대 다시 쓰기
철학과 현실
2003 .03
‘방법’으로서의 근대와 ‘사상’으로서의 근대
오늘의 동양사상
2007 .10
탈근대(성)의 포용으로서의 근대(성) - 한국 사회에서 탈근대론의 적실성과 관련하여
사회와 철학
2001 .10
[특집:식민지 근대화와 탈근대]근대 기획과 탈근대론, 그리고 탈식민주의
문화과학
2002 .09
근대화, 근대성 그리고 유교
철학과 현실
1997 .03
근대의 다양성과 한국적 근대의 생명력 -'탈근대론적' 역사해석 비판
역사비평
2001 .08
근대성에서 세계성으로
계간 사상
1994 .12
근대성의 '충격'과 한국 근대성 논의의 문제
문화과학
2001 .03
新しい近代を求めて : 土着的近代論の提案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18 .08
[근대성연구] 시간체제와 식민지적 근대성
문화과학
2005 .03
근대와 탈근대 사이에서 - 시간과 공간에 관한 아주 짧은 에세이
제3시대
2009 .06
유교연구의 새로운 지평-근대성을 넘어서
철학논총
2008 .10
근대 국어의 설정과 근대어 사전의 필요성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1 .02
한국적 근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근대적 시간과 일상의 표준화
역사비평
2002 .05
근대화/탈근대화의 이중과제와 사회운동의 새로운 전망
문화과학
200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