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민주 對 반민주’에 기초한 진영 간 대립 논리의 문제
3. “이명박 정부는 민주주의가 아니다”라는 인식에 대해
4. 민주주의를 제도적, 절차적 수준에서만 정의하는 것은 부족하다는 오해
5.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깨어 있는 시민’을 상정하는 것의 문제
6. 국가의 파생권력으로서의 정당과 참여의 위기
7. 운동과 정치참여
8. 공포의 동원
9. 거대건설프로젝트의 비극(1)?용산참사, 분노와 애도의 의식화
10. 거대건설프로젝트의 비극(2)?세종시 문제
11. 정치경쟁의 파라미터의 전환을 향하여?진영 간 갈등으로 부터 보수/진보의 실질적 경쟁으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특집: 사회민주주의 연구]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와 계급정치: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사회민주주의
경제와사회
1991 .09
민주화 20년의 한국 사회 : 기로에 선 한국 민주주의
경제와사회
2007 .06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과 민주주의의 전망
사회과학연구논총
2001 .06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미국헌법연구
2010 .12
권위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좋은 민주주의, 복지국가
비교민주주의연구
2014 .01
산업국가에 있어서의 신념체계와 정치현실 :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소고
한국정치학회보
1986 .12
현대 민주주의 이론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의 모색
21세기정치학회보
2000 .12
[특집: 사회민주주의 연구] 한국에서 사회민주주의운동의 가능성과 한계: 정당구조와 관련하여
경제와사회
1991 .09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 절차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한국국제정치학회 기타간행물
2011 .04
한국 민주주의의 개념과 현실
정치사상연구
2006 .11
시민 사회의 발전과 한국의 민주주의
사회이론
1999 .12
두 근대의 마주침, ‘급진 민주주의’와 ‘중국 특색의 민주주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12 .01
한국에서 1987년과 근대의 의미 : ‘이성적인’ 것으로서 민주주의와 민주화의 문제들
민주주의와 인권
2009 .04
촛불집회 이후의 경제적 · 사회적 민주주의의 전망
경제와사회
2019 .03
‘좋은 민주주의’ 지표: 민주주의 질의 경험적 측정
비교민주주의연구
2014 .01
민주주의 평등과 새로운 진보
시민과세계
2012 .06
한국 정치의 사회경제적 균열기반과 민주주의의 전망
사회과학연구
2000 .12
‘민주주의의 외부’와 급진민주주의 전략 : ‘민주주의의 사회화’를 위한 새로운 연대성의 정치학을 향하여
경제와사회
2009 .06
어떤 민주주의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
경제와사회
200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