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제1장 서론
제2장 주간 정책브리프(Policy Brief)
제3장 월간 정책분석(Policy Analysis)
제4장 국제정세 브리핑
제5장 외부원고 - 부시 2기 행정부의 대외 정책 기조
요약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북아 현황과 전망(Ⅱ)
정책연구
2005 .12
North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Prospects for a Northeast Asian FTA
[KIEP] 연구보고서
2003 .12
동북아 영토분쟁, 중등교육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간도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08 .06
동북아 경제구조의 지형변화 전망 :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Ⅰ)-지역현황 및 발전 전망과 지역연계 분석, Development Prospects for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the Core Economic Regions in Northeast Asia(Ⅰ)-Development Prospects and inter-Regional and Linkages , 김원배 지음
국토
2008 .03
TOWARD A NORTHEAST ASIAN COMMUNITY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16 .05
동북아공동체의 구축현황과 전망 : 정치, 경제, 및 문화공동체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02 .06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Strategy for the Business and Financial Hub in Korea
경제연구
2006 .01
동북아 주요국의 에너지절약 정책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12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평화구상 : 미ㆍ일동맹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2003 .10
동북아 각국의 그린에너지 시장 및 국제협력 현황·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자료
2009 .12
동북아
초등우리교육
2006 .06
민족주의와 지역주의: 동북아 지역통합의 저발전
미래정치연구
2016 .08
Building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U.S. Impacts on the Northeast Asian Politics : A Periodical Observation, 1945~1984
국제학논총
2002 .02
The Concept Defini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Analysis from Cultural Perspective
국제지역학논총
2014 .06
21세기의 '동북아문화공동체' 형성과 한국의 역할
유럽연구
199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