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Ⅱ. 목간의 형식분류
Ⅲ. 제작기법의 해명
Ⅳ. 폐기방법의 해명
Ⅴ. 고고자료로서의 성산산성목간(城山山城木簡)
Ⅵ. 마치며
참고문헌
日文抄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목간 발굴 30년」-목간을 고고한다는 것-토론문(2)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목간 발굴 30년」-목간을 고고한다는 것-토론문(1)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한ㆍ중ㆍ일 동아시아 3국의 목간 출토 및 연구 현황
한국고대사연구
2010 .09
木簡硏究 現場에서의 2가지 試圖
목간과문자
2011 .12
목간 발굴 30년 : 목간을 고고학한다는 것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6~7세기 한국 목간을 통해서 본 일본 목간문화의 기원
신라사학보
2016 .08
윤선태 著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주류성, 2007년)에 대하여
목간과문자
2008 .12
월성해자 출토 목간의 제작기법
목간과문자
2009 .12
일본 고대 목간의 계보 : 한국 출토 목간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한국 고대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사학보
2016 .12
나와 목간 연구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8 .11
일본 고대 목간의 계보 : 한국 출토 목간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목간과문자
2008 .06
形態와 記載樣式으로 본 日本古代木簡의 特質
목간과문자
2009 .06
百濟木簡의 형태분류 검토
목간과문자
2013 .12
부여 ‘중앙성결교회유적’ 및 ‘뒷개유적’ 출토 목간 보고
목간과문자
2011 .06
한국의 목간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목간학회 학술대회
2007 .01
나무조각에서 역사읽기;平川 南 著『古代地方木簡の硏究』(吉川弘文館, 2003)
목간과문자
2009 .06
고대 목간의 형태 재분류와 고려 목간과의 비교 : 성산산성 목간을 중심으로
목간과문자
2016 .06
일본에서의 목간연구와 과제 -『 木簡硏究』 30년
목간과문자
2010 .06
출토 목간의 재질분석-함안 성산산성 출토목간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0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