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단속강화와 생존권요구 사이에서 느끼는 불편함
2. 법과 공권력에 의지한 근절의지는 문제 있다.
3. 성매매종사 여성들의 일은 노동이다.
4. 그렇다면 여성주의자들과 성매매여성 그리고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할 것인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쟁점 1. 성매매특별법 1년: 법, 세계화, 성노동
여/성이론
2005 .12
여성장애인의 성매매와 성매매방지법률(안)의 문제점 : 여성장애인의 성매매 실태를 중심으로
젠더와사회
2004 .02
여성주의 성정치 : 성매매 '근절' 운동을 넘어서
여/성이론
2004 .07
일단, 성매매여성 비범죄화부터 시작합시다
여/성이론
2005 .04
서구 ‘2세대 페미니즘’의 성매매 논쟁 : 전개 과정과 이론적ㆍ실천적 함의
페미니즘 연구
2009 .10
성매매특별법이 나쁜 이유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성노동 연구팀, 『성‧노‧동』 (여이연, 2012)
여/성이론
2013 .06
성매매 : 여성주의 성정치학을 위한 시론
한국여성학
2005 .04
성판매자 비범죄화를 위한 시론 : 「성매매특별법」을 둘러 싼 쟁점과 여성주의 대안 모색
페미니즘 연구
2015 .04
성매매는 `죄`인가? `여성혐오`에 기반한 구조적 폭력인가? : 헌법재판소의 성매매특별법 합헌 판결을 통해 본 성매매 문제 재고
페미니즘 연구
2016 .10
성매매여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과제
젠더와사회
2010 .12
〈성매매특별법 위헌 제청 공개변론의 쟁점과 성매매정책의 방향〉 간담회에 덧붙이는 방백
여/성이론
2015 .12
1980년대 여성주의 성매매 반대 담론의 성격
페미니즘 연구
2006 .10
여성주의자, 그 불순한 이름에 대하여 : 여성과 여성주의자의 차이 혹은 여성의 경험과 여성주의 주체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여/성이론
1999 .04
한국 성매매 산업 내 `부채 관계`의 정치경제학
한국여성학
2015 .12
‘성매매’ 근절론을 둘러싼 딜레마 : ‘성매매’와 ‘성평등’의 관계
여/성이론
2013 .12
성매매와 성매매방지법에 대한 남성들의 인식 : 성구매 경험이 있는 도시 거주 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젠더와사회
2008 .04
전지구화 시대 여성주의자들은 무엇을 할 것인가
여/성이론
2004 .12
미디어를 통한 성매매의 의미구성 : 중앙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5 .09
“당신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 2004년 이후 한국의 ‘성매매’ 운동의 지형도 읽기
여/성이론
2010 .12
성매매를 통한 친밀함의 모방 : 성매매와 성매매 아닌 것의 경계를 허무는 착취
한국여성학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