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9권 제1호
발행연도
2009.10
수록면
217 - 220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transitional space, if being simply explained, which means a middle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 the house, especially the single family house, has been playing a more important role than that had been considered when getting up at the beginning. As the urbanism has been developing at an amazing speed, how to create a comfortable life is not all about the modern technology but being with nature.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residential houses are made as clues while the differences of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as a basis for further search, using comparison and design theory as methods, to study how did the transitional space develop during the process of housing architecture and make a change in the single house on contemporary. At the same time, it also turns as a returning to the start of architecture.

목차

Abstract
1. 서론
2. 단독주택 과도적 공간의 발전
3. 단독주택에서 과도 공간의 특징
4. 단독 주택 과도 공간을 만드는 방법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40-001635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