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한국 수사학, 한국어 수사학
2. 왜 우리 고유의 언어 행위의 지평을 찾아야 하는가?
3. 왜 한국인은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는가?
4. 왜 서양인은 “나는 세 살 늙었다”고 말하는가?
5. “한국은 섬이 아니냐?”라는 질문에 대해 왜 서양인은 “No”라고 대답하고 한국인은 “예”라고 대답하는가?
6.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사용
7. 한국인의 언어사용과 수사학
8. 에필로그: 두 배로 넓은 세계관에 대한 변론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내면과 수사
독일학연구
2009 .12
수사학과 인간학
독일어문학
2008 .01
‘학제적 의사소통학’으로서의 수사학 재정립을 위한 고전수사학과 현대 신수사학 조명
수사학
2004 .09
언어와 문화 그리고 기업경쟁력의 접점으로서 제2외국어 능력
카프카연구
2006 .12
한국사회에 반말공용화를 묻는다 : 인지문화철학자의 반말 선언
사회와 철학
2014 .10
헤르더와 인간학적 전환 (Ⅰ)
카프카연구
2008 .12
거짓말의 수사학
수사학
2008 .09
여성 주체의 말하기와 젠더연구로서의 수사학
수사학
2008 .09
언어의 근원 : 헤르더와 하이데거의 차이
현대유럽철학연구
2004 .01
하이데거 존재언어의 특징들
현대유럽철학연구
2009 .01
언어, 비판 그리고 화해의 유토피아- 아도르노의 언어이론을 재구성하기 위한 한 시도
인문논총
2009 .01
20세기 전환기 독일 학교소설 -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학교소설’ 장르의 이해
세계문학비교연구
2013 .01
형법해석의 한계와 신수사학
수사학
2008 .09
릴케의 공허 Leere의 시학
카프카연구
2008 .12
수사학과 대중매체의 이중적 상관관계 : 「고삐 풀린 보탄」의 연설가상을 예로 한 고찰
수사학
2009 .03
과학혁명 시대에 인문학과 과학 사이의 간극과 소통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
2010 .08
논리학과 수사학의 갈등과 공존 : 페렐만의 논증행위이론을 중심으로
수사학
2011 .09
인간 창조와 홍수
신학연구
2007 .06
모더니티에서 마적인 것 : 발터 벤야민의 몇 가지 모티프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0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