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평양 소련문화원의 설립
Ⅲ. 소련의 조소문화교류 활동
Ⅳ.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련의 문화정책
한국노어노문학회 기타간행물
1994 .11
소련의 문화정책
한국노어노문학회 기타간행물
1994 .11
1930年代初中國知識界的“蘇俄熱”
중국사연구
2009 .01
휴전후 북한주재 소련대사의 활동 : 소련의 영향력과 김일성권력의 자율성
통일인문학
2014 .12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한국현대문학연구
2011 .08
소련에서 러시아로, 그리고 다시 어디로
계간 사상
1992 .06
소련의 문화정책과 이데올로기
한국노어노문학회 기타간행물
1994 .11
종전/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담론 공간과 `적색 제국주의 소련`상(相·像)
한국사학보
2016 .02
조소문화협회의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 해방기 북조선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에 대한 문제제기적 검토
대동문화연구
2009 .01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소련 속의 한인들
계간 사상
1990 .05
한국통일:소련의 시각
계간 사상
1991 .03
소련 사회주의의 이상과 현실
계간 사상
1989 .09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동방학지
2016 .01
소련 사회의 성격 논쟁
현대사상
2019 .09
반항하는 소련의 인쩰리겐차들 : 소련 문학계의 ‘자유주의파’와 ‘보수파’를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기타간행물
1994 .11
한국전쟁과 소련의 역할 -1949년 3월 조소 양국 정부의 협상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0 .01
성조소 기술 방법론의 비교 연구
언어과학연구
1998 .12
전후 소련의 만주지역 철군문제와 미중소의 이해관계(1945-1946)
역사와실학
2016 .11
해방 전 소련의 대한반도 정책 구상과조선 정치세력에 대한 입장
슬라브硏究
2014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