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면서
Ⅱ. 학문의 정치화로서 근대화이론
Ⅲ. 유럽중심주의 정당성위기와 미국적 세계지배비전의 형성
Ⅳ. 미국적 근대화의 독일사적 전유: “독일의 특수한 길(Der deutsche Sonderweg)”
V. 나오면서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화의 제과제
동아문화
1965 .04
Modernization and New Generation
Korea Journal
1967 .03
Moderniz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Korea Journal
1969 .08
러시아 경제와 현대화 전략 : 주요 산업발전 전략과 정책
슬라브학보
2014 .03
The Role of Art and Culture in Modernization
Korea Journal
1969 .08
Modernization as a Goal Value in Korean Society
Korea Journal
1972 .04
Modernization and Tradition : Korean Attitudes
Korea Journal
1972 .10
문제모형으로 본 근대화의 개념
동아문화
1965 .04
Confucian Behavior Toward The Modernization of Korea, 1846-1910
Korea Journal
1973 .07
유럽 근대화에 관한 일고찰
동아문화
1965 .04
러시아 현대화 전략의 가능성 및 시사점
슬라브학보
2012 .12
번역과 한국 및 일본의 근대화(번역제반 양상의 비교)
번역학연구
2007 .09
개화기 개신교의 번역사역과 한국 어문의 근대화
번역학연구
2007 .09
Buddhist Viewpoint On Modernization
Korea Journal
1966 .03
The Korean Path to Modernization and Risk Society
Korea Journal
1998 .03
일본의 근대화 전개 배경에 대한 일고찰 : 막부말기 주요 사회적 상황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09 .08
근대화의 심리학적 고찰
동아문화
1965 .04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Communication Culture of Two Decades
Korea Journal
1982 .03
Authoritarianism and Modernization
학술대회
200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