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人物相의 비교와 계보
Ⅲ. 신화 불교적 題材의 비교
Ⅳ. 四神?ㆍ天文(星宿)?의 위상
Ⅴ. 獸首人身像의 자리매김
Ⅵ. 일본열도에서의 고분벽화의 지역성과 문양, 화제의 계보
Ⅶ. 결어
「高句麗 古墳壁畵와 日本 飛烏時代 古墳壁畵의 比較硏究」討論文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日本の古墳壁畵と高句麗古墳壁畵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高句麗古墳壁畵硏究史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高句麗 古墳壁畵를 통해 본 高句麗 服飾에 關한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에트루리아, 까따꼼바 및 韓國의 古墳壁畵에 表現된 삶과 죽음의 意味 : 까따꼼바 및 韓國의 古墳壁畵
신학전망
1996 .09
高句麗 古墳壁畵 기초자료 정리와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06 .11
高句麗古墳壁畵を通してみた高句麗の建築に關する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高句麗 古墳壁畵 紋樣을 응용한 陶製 裝身具 硏究 : 集安地域 古墳壁畵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1998 .06
高句麗 古墳壁畵 中 蓮花의 形態와 位置에 關한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2003 .12
高句麗古墳壁畵に見る高句麗服飾に關する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에트루리아, 까따꼼바 및 韓國의 古墳壁畵에 表現된 삶과 죽음의 意味(Ⅰㅈ) : 에트루리아 古墳壁畵
신학전망
1996 .06
일본의 고분벽화와 고구려의 고분벽화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고구려 무용총 편년의 재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09 .07
高句麗 古墳壁畵 素材變化에 대한 一考察-묘주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1996 .11
高句麗古墳壁畵を通してみた宗敎と思想の硏究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벽화고분부터 본 고구려의 종교
불교학보
2001 .12
몽골에서 최근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의 소개
고구려발해연구
2012 .07
韓國 古代壁畵의 思想史的인 硏究 : 三國時代 古墳壁畵의 思想的인 考察을 中心으로
성곡논총
1985 .06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서 본 종교와 사상의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1997 .12
高句麗 古墳壁畵의 神仙服飾
도교문화연구
1991 .12
高句麗 集安 地域 中期 壁畵古墳의 西域的 要素 硏究
중국사연구
200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