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전국 매체로 성장한 케이블TV
Ⅲ. 지역 채널 운영 현황 및 문제점
Ⅳ. 지역 문화 활성화 위한 케이블TV 프로그램 개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케이블TV 지역채널의 시청자, 프로그램 및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0 .08
케이블TV SO의 지역채널 운영 및 재허가 심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2011 .05
Product Presentation Strategies for Cable Television Home Shopping Channels
유통연구
1996 .01
케이블TV 산업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2004 .06
지상파 멀티 모드 서비스(MMS)와 케이블TV
한국사회과학연구
2007 .06
중계유선방송의 종합유선방송 전환 승인 정책의 시장 효과에 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2003 .07
멀티 플랫폼 시대 지상파 재송신 정책
한국사회과학연구
2013 .07
다채널 TV환경에서 전문채널에 대한 평가 : 브로드캐스팅과 내로우캐스팅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보
2002 .04
유료방송환경에서의 시청다양성에 관한 연구 : Cable So의 상품별 채널다양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0 .02
케이블TV 지역채널의 해설ㆍ논평 금지에 관한 일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2011 .11
케이블 TV의 채널 레퍼토리(repertoire)에 관한 연구 : 다양성과 분극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1 .06
케이블TV 지역채널 운영 전략 연구 : 지역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8 .08
대전ㆍ충남 지역 지상파와 케이블 지역채널 뉴스 비교 분석 : 케이블 지역채널의 보도 기능 제한에 대한 재고
한국방송학보
2011 .05
지역방송의 콘텐츠 제작 활성화와 지역성 구현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11 .08
케이블 지역채널은 방송 지역성 강화의 대안일 수 있을까? : 지역 지상파와 케이블 지역채널 간 접목 가능성 탐색
한국언론정보학보
2017 .08
다채널 시대 TV 이용행태와 그 사회적 함의
Telecommunications Review
2003 .01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텔레비젼매체 경쟁구도의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00 .05
케이블 TV 방송국의 입지와 공간조직 ( The Location of Broadcasting Sta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of Cable Television in Korea )
대한지리학회지
1997 .06
공익채널 의무전송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방송문화연구
2009 .12
케이블TV의 공중액세스채널 제도화와 운용방안 : 한국과 미국의 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0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