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그린벨트의 역사와 현황
Ⅱ. 그린벨트의 목적과 목표
Ⅲ. 그린벨트의 지정과 경계설정
Ⅳ. 개발규제 : 개발허용행위
Ⅴ. 개발에 대한 의무 : 녹지조성방안
Ⅵ.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국 그린벨트 관리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국토
2007 .07
최근 영국의 그린벨트 정책 동향과 시사점
국토
2016 .07
영국, 프랑스, 독일 그린벨트 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2008 .03
그린벨트 제도의 개선방향 : 도시계획 측면
국토
1992 .12
[해외리포트] 영국 그린벨트의 친환경적 활용 사례
국토
2019 .08
ACPS 모형을 활용한 규제정책 변동과정 분석 : 그린벨트정책의 개발허용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6 .06
지속 가능한 그린벨트(GB)의 보존 및 이용을 위한 실태 조사 : 서울시 그린벨트 시민 인식도 설문조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 .05
그린벨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도시경제 측면
국토
1992 .12
[특집 - 환경 갈등의 사회학적 해부] 그린벨트의 정치사회학 - 그린벨트 해제의 사회 동학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2004 .09
獨逸과 英國의 開發規制 比較
국토
1992 .10
영국과 미국의 그린벨트 관련 사이트 : 훼손 우려지역, 미활용 토지 등에 관한 정보 제공
국토
1998 .08
도시권 그린벨트의 후생분석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12
“그린벨트의 근본취지 살려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국토
1998 .04
한국ㆍ영국ㆍ일본의 그린벨트 비교 연구
한국사회학
1999 .03
韓國經濟의 持續的 成長條件
공산권연구총서
1972 .05
최근 러시아 經濟의 高成長 背景과 持續 可能性
[BOK] 해외경제 포커스
2003 .09
英國 建設業의 敎訓
건설경제
199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