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배경 : 과학과 미디어의 새로운 관계
3. 투모로우의 과학적 배경
4. 본 연구의 구성
5. 연구결과
6. 결론과 논의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가 이긴다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1
영원히 끝나지 않기를 바랐던 영화
관훈저널
2019 .09
영화교육
한국언론학보
1969 .01
특별활동-영화, 영화반으로 가는 길
중등우리교육
1993 .11
영화 속 통신, 접속 시대의 영화들
초등우리교육
1999 .09
영화교육의 가능성
청소년문화포럼
2004 .06
90년대 이후 한국의 청춘 영화 : 십대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11
영화 : 공동경험구역 만드는 영화 읽기
초등우리교육
2001 .01
영화 공동경험구역 만드는 영화 읽기
중등우리교육
2001 .01
우리 영화의 이상한 세계화-영화의 두번째 세기를 맞기 위한 시론
초등우리교육
1996 .08
우리 영화의 이상한 세계화 - 영화의 두번째 세기를 맞기 위한 시론
중등우리교육
1996 .08
대학에서의 영화 읽기
대학교육
1998 .01
[영화속의 학교] 학교가 무대인 영화, 영화가 말하는 학교
초등우리교육
2008 .01
[영화] 할리우드, 한국영화로 눈을 돌리다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2013 .05
1990년대 중반 이후 프랑스의 ‘사회적 영화’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2 .11
멀고도 가까운 영화와 문학
초등우리교육
1999 .02
당신은 영화를 차별하고 있지 않습니까?
관훈저널
2000 .03
영화를 통한 도시이미지의 홍보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0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