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해방 후 민족적 과제와 교회
2. 전제(前提) - 한국기독교와 친일청산의 좌절
3. 한국교회와 민주화운동
4. 미완의 과제- 한국교회와 통일운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발제 2 : 해방 후 한국교회 분열과 에큐메니칼운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5 .12
발제 1 : 해방 후 한국교회의 성장과 해외선교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5 .12
남ㆍ북 교회의 통일 운동 : 어떻게 할 것인가?
신학과 목회
2002 .10
논찬 3 : ‘해방 후 한국교회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대한 논찬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5 .12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통일운동인가 : 통일운동의 시각 전환을 위하여
황해문화
2006 .12
발제 4 : 해방 후 북한교회와 남북기독교 교류
한국기독교와 역사
1995 .12
백운동을 거닐다 외 2편
황해문화
2016 .12
운동화를 빨며
시조시학
2010 .03
M.B.W. 운동
신학전망
1984 .12
운동화를 빨다가
시조시학
2012 .09
특집·해방후 학생운동의 민족사적 위치 민족민주운동으로서의 4·19시기 학생운동
역사비평
1988 .06
연구동향으로 본 한국기독교 사회운동 인식 -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 그리고 통일운동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20 .01
해방후 한국교회의 정치활동과 교회 쇄신 운동에 관한 소고
신학지남
1985 .03
이머징 교회운동의 특징에 대한 연구 및 적용에 대한 고찰
복음과 실천
2016 .09
통일 운동의 문제점-사적 고찰
계간 사상
1991 .03
[해방 60년, 분단시대의 통일정책과 통일운동 4] 민간 통일운동의 전개와 쟁점
내일을 여는 역사
2005 .09
20세기 서울의 민족운동과 민주화운동
[TCHCCOS] 향토서울
2000 .10
팔십년대를 향한 한국 교회의 선교운동
신학지남
1974 .12
한국의 사회운동은 어디에 있는가?
황해문화
200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