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본적 영화장치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
Ⅲ. 선험적 주체와 이데올로기적 장치로서의 카메라
Ⅳ. 맺는 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 속 성서 보기] 망가진 꽃들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6 .01
[영화] 낯설고도 새로운 영화
황해문화
2006 .12
영화리얼리즘 비판을 통해 본 에코의 영화기호학과 보드리의 영화현상학
철학연구
2005 .05
알모도바르의 ‘영화 속 영화’
외국문학연구
2009 .02
[영화] 영화의 정치성 : 폭력에 대한 카메라의 수사학
황해문화
2004 .12
[영화] 디지털 영화의 가능성은 어디에 있는가?
황해문화
2002 .09
L’achèvement cinématographique de la théorie de Brecht à travers 〈Tout va bien〉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
2013 .08
[특집: 왜 영화인가?] 영화와 충격
철학과 현실
2003 .12
[영화] 역사와 이미지의 사이, 또는 낯선 시간에 대한 영화적 욕망
황해문화
2008 .12
관객 의식과 담론 분석 : 이데올로기 분석을 통한 영화 치료의 가능성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04
상상의 모양, 영화적인 것과 영화적 세계 사이 (영화의 탈매체성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8 .10
[특집: 왜 영화인가?] 영화의 매체적 메시지
철학과 현실
2003 .12
[영화] 영화에서의 ‘폭력’에 대하여, 혹은 ‘폭력적인’ 영화에 대하여
황해문화
2002 .06
영화가 재난을 소비하는 방식, 그리고 카메라의 가능성에 대하여
지식의 지평
2020 .05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Watching Act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