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기원지로부터의 강제적 유리와 이산
3. 모국에 대한 집합적 기억과 회귀의식
4. 나오는 말
‘식민지 자본과 시의 디아스포라적 양상 연구-백석, 오장환, 이용악의 시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기 한국시에 나타난 역사의 기억과 재현 : 이용악과 오장환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0 .06
오장환의 시 연구
우리말글
1989 .11
백석 번역시 연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11
오장환시의 현실인식연구
돈암어문학
1995 .02
오장환의 동시 및 초기시 연구
창비어린이
2005 .12
오장환의 문화 기획과 시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5
백석의 시 쓰기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
2001 .12
백석 소설 연구
국어국문학
2001 .05
해방기 이용악 시 연구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 .05
「백석 번역시 연구」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11
「오장환의 문화 기획과 시」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5
백석 시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04
백석 시의 형상화 방식 고찰
우리문학연구
1998 .12
이용악 시 재론을 위한 몇 가지 검토 과제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 .05
해방직후 이용악 시의 전개과정 연구
국어교육연구
1990 .08
백석 시에 붙인 노래
창비어린이
2016 .09
백석 시의 환상성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 .04
백석과 러시아 문학 : 백석의 푸쉬킨 번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2 .11
백석 시에 나타난 자아와 대상의 관계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