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대한매일신보」잡보란의 현황
3. 「대한매일신보」잡보의 주요 내용
4. 「대한매일신보」잡보의 편집상 특성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독립신문》 잡보의 내용 및 보도방식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언론학보
1995 .12
대한매일신보의 참여인물과 언론활동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한말 ‘민족지’ 신화의 재검토 :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2007 .06
대한매일신보 창간의 역사적 의의와 그 계승문제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대한매일신보』독자의 신문인식과 신문접촉 양상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개화기의 구국언론〈대한매일신보〉논설 분석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형태주석 전산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 .10
한국 근대신문의 기사제목 변화 연구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7 .02
대한매일신보의 광고에 관한 연구 : 국채보상운동과 광고매체로서의 신보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대한매일신보와 국채보상운동 : 배설과 梁基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04 .07
《대한매일신보》 영문판의 성격 : 영국 자유무역제국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008 .02
대한매일신보 국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대한매일신보 논설 코퍼스 활용 사례연구
한국언론학보
2011 .04
[연재_회고의 글 2] 『대한매일신보』와 나의 인연, 영인본과 디지털화 : 시대의 고뇌가 담긴 언론사 연구의 실증적 체험기
근대서지
2016 .06
한국 근대신문 기사제목의 형성과 발전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08 .08
대한제국 말기『국민신보』의 특성과 역할 : 민족지와의 대립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12 .04
독립신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독립신문 코퍼스 활용 사례연구
한국언론학보
2011 .10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번역문체 판별의 어휘적 준거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형태주석 말뭉치‘의 어휘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011 .02
1920~30년대 경성의 근대 건축활동에 관한 기초 연구 : - [朝鮮と建築]의 잡보기사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
2011 .02
근대 계몽기 시조의 율격적 변주 양상-『대한매일신보』 ,『 대한민보』 소재 시조의 종장을 대상으로-
청람어문교육
201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