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1호
발행연도
2006.3
수록면
55 - 65 (1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major purposes of this paper are (1) to explore korean rural planning as subplanning of nation planning and regional planning, (2) to explore functional change of korean rural areas, (3) and suggest appropriate policy for functional change of rural society in Korea. I divided korean rural planning into five periods according to its paradigm shift. In the first period of rural planning lay emphasis on food self-supply, antipoverty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In the second period of rural planning lay emphasis on food self-supply, green revolution and income gap mitig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third period of rural planning lay emphasis on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the fourth period of rural planning lay emphasis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In the fifth period of rural planning Korea government announced a new policy and lay emphasi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ood supply used to be most important function of rural areas, but it is weakened in recent days. The role as axi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ecome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rural area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 농촌계획의 시기별 구분과 특징
Ⅲ. 한국 농촌의 기능 변화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22-017408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