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논집 중국어문학논집 제20호
발행연도
2002.6
수록면
451 - 479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在明淸交替之際轉換期, 錢謙益認爲文學能爲“救世之針藥”, 是因爲其具有實用的功能而爲世人所傳。 他以“性情”、“學問”、“世運”爲創作的主要條件, 尤其重視“世運”。他繼承了歐陽修所謂“詩窮而後工”的詩論, 而倡導“文史一致”說, 目的是提醒忽視社會現實與只顧空談心性的文壇, 從而形成了重視文學社會作用的新潮流,。 他强調文學與時代關係的重要, 這便與晩明思潮大相徑庭。
他還主張文學反映時代變移, 文學的風氣也會由此而改變幷形成新的潮流。 文人隨著時代的推移, 而心理上産生了變化; 至於文章的風氣及作法, 順應著內心的反應, 文學最終也有了變化。 所以由此可謂文學的變化是必然的。 他還指出, 一個人的詩風會改變, 而文學的進步正自這變化開始, 以强調變化才眞正是文學本然的特徵, 但是, 明代的前、後七子以盡力擬古而倡導謀爲文學的變化, 這不可謂“善變”。
他在明淸易代之際, 他試圖通過硏究史學而掌握時代變化之理, 以謨求救國的途徑。 而且他把經學、詩、小說和戱曲都包括於史學的範疇之中, 以期擴大史學的範圍。 他重視文學與時代的關係, 主張文學不僅要反映時代變化, 而且必定會隨著時代的推移而變化。 他指出了文學轉變的本質特點, 同時又要求文學須具備一定社會批判的功用。 牧齋的史學論, 始終是圍繞“時代”進行的, 這是由明淸易代特定的時代狀況決定的。

목차

1. 여는말

2. 문학과 역사의 통일

3. 文筆과 史筆의 결합

4. 시대와 문학의 관계

5. 시대와 문학의 역할

6. 시대와 문학의 발전

7. 닫는말

參考文獻

中文摘要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820-017852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