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中文摘要
1. “惟賓是動“式的出現
2. 狀語的發展
3. 復合句式的發展
4. 小結
參考文獻
한글제요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좌씨춘추」 지명고(속)
철학연구
1967 .05
中国现当代诗歌研究在韩国
중국문화연구
2007 .12
[만화] 춘추전국시대 이야기
황해문화
2011 .12
'좌씨춘추' 국명고
사학연구
1963 .04
시린 속을 풀어주는 새로운 형식을 기다리며
시조시학
1997 .12
馬一浮 『論語大義』 연구
양명학
2013 .08
한주 이진상의 춘추학 : 『춘추집전』과 『춘추익전』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5 .09
<書評> 평세융랑, 춘추와 좌전
중국사연구
2005 .01
戰國時期銅器銘文中的複音詞 - 以中山王銅器銘文爲主 -
중국어문학논집
2002 .10
화해사회의 건설이라는 시각에서 바라 본 『춘추결옥』
동서사상
2009 .02
中國 殷周 金文의 硏究 狀況
중국학논총
1998 .01
춘추시기 회맹의 역사적인 역할
중국학논총
2010 .01
두 개의 탑 : 형식과 개념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6 .12
인간적인 것과 형식 : 영언동인,『포클레인』(책만드는집, 2012)
시조시학
2012 .12
다산의 『춘추』의례와 『춘추고징』의 위상
민족문화연구
2017 .01
곽종석(郭鍾錫)의 『춘추』 문답을 통해 본 19세기 조선조 지식인의 『춘추』 이해(1)
한국철학논집
2020 .01
胡安國의 『春秋』 해석을 통해 본 宋代 春秋學의 특징
동양철학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