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제17집
발행연도
2005.6
수록면
221 - 253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e middle of 1930's, three critics, Kim-kirim, Im-hwa, and Park-yongchul, they debated about the problem of technique in poetry creation. Kim-kirim, he stressed the need of technic in creating poetry, but he also warned the problem of overestimation of technic. Im-hwa, the ex-secretary of KAPF, fundamentally opposed the poetic assertion that technic is important, and instead of that he stressed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Park-yongchul, a defender of pure poetry, he radically asserted that the only factor in creation of good poem is technic. These three opinions or attitudes about the problem of poetry creation were the representative poetic assertions through criticism. So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iterature in 1930's through that discursive critical phenomena about the problem of technique in poetry creation.

목차

1. 머리말

2. ‘기교주의 논쟁’의 경과와 그 배경 - 카프 2차 사건의 발생과 30년대 시단의 재편

3. 시단과 시론의 정립(鼎立) 구도

4. 시금석으로서의 ≪정지용 시집≫과 그 평가 문제

5. 시론의 막다른 길, 혹은 최후의 시인-시론가들

6. 결어 및 남는 문제

참고문헌

영문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810-017799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