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제21권 제2호
발행연도
2005.2
수록면
163 - 172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District Unit Plan approach to meet changes in social and urban circumstances; existing built-up areas and the need for business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The paper'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shows a new direction in urban design which has been made into a district unit plan through in support of the application to the pilot project compared with previous physical and business environment.
The proposed urban design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existing commercial areas, specially commercial streets have advantages. Local Government' initiation makes possible to make improvement and g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hich is sensitive to the existing conditions of urban area for the better environment. Also it can maintain and improve the vitality of existing retail street by taking into account it's potentiality. This new application can maximize not only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existing commercial district but also the build of community board can be mutual communication channer of public sector. Thus, this research suggests how district unit plan as a newly organized urban design system can cope with collaborating a community board and a local government.

목차

Abstract

1. 서론

2.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개념과 추진과정

3. 노유거리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추진내용

4. 노유거리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전후 분석

5.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성과와 향후 적용방향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447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