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언
Ⅱ. 수사학과 수사교육의 기능
Ⅲ. 중국어 수사교육의 내용6)
Ⅳ. 중국어 수사 교육의 몇 가지 범례
Ⅴ. 결어
참고문헌
中文提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連體修飾「の」の一考察
일어일문학
1997 .11
'레토리케'(Rhêtorikê)는 '수사학'(修辭學)인가?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04 .05
상과 중국어의 결과보어
중어중문학
1998 .05
한국의 중국어 교육 위상 변화와 글로벌 중국어 시대의 전망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7 .11
修辭의 定義 및 『論語』에 있어서 修辭의 空間 考察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6 .11
일반언어학 이론의 중국어 교육적 적용 : 상황유형에 기반을 둔 중국어 문법 교육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11
중국어교육에서의 학습유형 분석과 그 교육방법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중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
1997 .12
중국어교육 3.0 : 탄뎀 3.0 기반 중국어교육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공공선(公共善)과 위기갈등 해법으로서의 레토릭 : ‘언시(言施)’ 그리고 수신시(修身施) · 수심시(修心施) · 수사시(修辭施)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11
중국어의 단위사에 관하여
중어중문학
1981 .11
2015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특징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15 .04
중국어 정보의 실제성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9 .06
AI시대 바람직한 중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문화재補修理論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1992 .01
20세기 전후 한국의 중국어 교사와 중국어 교육 : 출판된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14 .05
<중국어교육 3.0 ―탄뎀 3.0 기반 중국어교육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토론문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5 .10
어린이 중국어 교육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 .04
1993-2004년까지 발표된 중국어교육 논문에 대한 토론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0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