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송은영, 『서울 탄생기: 1960~19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푸른역사, 2018)
문화과학
2019 .03
우리역사 바로 세우기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95 .10
절대주의의 신화와 현실, 이영림, 『루이 14세는 없다』(푸른역사, 2009)
역사학보
2009 .12
나의 역사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04 .01
나의 역사연구를 뒤돌아본다.
韓國史學史學報
2010 .01
역사의 길은 굽어도 제 길을 갑니다
내일을 여는 역사
2013 .09
역사는 다시 쓰여진다
韓國史學史學報
2003 .01
국왕의 말과 행동을 통한 조선 시대 정치 읽기, 『정치가 정조』(푸른 역사, 2001)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1 .12
자유의 확대과정으로 본 정치사 중심의 한국사 -김당택, 『우리 한국사(개정판)』(푸른역사, 2006. 2)
역사학보
2006 .12
1. 다시 밟아 본 역사속의 길
국제한국학연구
2003 .12
破邪顯正의 역사 연구
韓國史學史學報
2001 .01
역사는 누가 읽는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13 .03
조인성 저,《태봉의 궁예정권 연구》(푸른역사, 2007. 12)
한국사연구
2009 .03
포스트모더니즘, 폭풍인가 '찻잔 속의 폭풍'인가, 김기봉 외 저,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푸른역사, 2002)
역사학보
2002 .12
[역사편] 一般史와 分類史의 機能과 展開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3 .08
악마 같은 열정이 빚어낸 인간 비극의 초상, 라우로 마르티네스 / 김기협 역, 『메디치가 살인사건의 재구성』(푸른역사, 2008)
역사학보
2008 .06
‘when’과 ‘then’의 역사에 대하여
영어학연구
2002 .01
『역사란 무엇인가?』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