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鄕歌解讀의 反省的 考察
모산학보
1997 .05
향가의 ‘支’
한국학논집
1992 .12
「풍요(風謠)」의 의미(意味) 형상(形象) -작가(作家) 문제(問題)와 향찰(鄕札) 해독(解讀)도 겸하여
국어국문학
1992 .12
均如 [願王歌] 硏究의 現位置 : 鄕札的 思考와 詩的 解讀을 겸하여
모산학보
1997 .05
베버의 支配類型論
한국사 시민강좌
1991 .08
스사노오 신화와 神代記의 논리
일어일문학
2018 .11
筆寫本 《花郞世紀》와 鄕歌의 새로운 理解
성곡논총
1996 .08
고려시대 支配勢力과 鄕吏
계명사학
1997 .11
高麗初期 鄕史職의 由來에 對한 小考 : 鄕史職名의 變化를 中心으로
역사와 세계
1980 .01
朝鮮前期 星州鄕村社會의 構造와 支配層 動向
한국학논집
1991 .12
《天香慶節》 簡論
중국문학
2010 .01
鄕歌의 本質
모산학보
1997 .05
支道林般若性空思想探析 - 以「逍遙義」爲主 -
중국어문학논집
2004 .05
‘지나(支那)’ 어원 연구 총술 : 17세기 이후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4 .02
國家 金融支配의 政治經濟
성곡논총
1992 .06
鄕歌의 장르設定을 위한 一考
어문론집
1981 .06
鄕歌의 解讀을 위한 試論 : 其一, 慕竹旨郞歌의 ‘皆理米’를 中心으로
모산학보
1990 .12
細讀《孟子》―從文篇語法切入的解讀
한국어사 연구
2020 .07
鄕歌 포기에 쓰인 釋讀字
한국학논집
1976 .03
0